5분 읽기
Last updated on
RDB vs NoSQL 장단점
RDB와 NoSQL은 데이터 저장 및 관리 방식에서 매우 다르다. 각각의 장단점을 비교해 본다.
📊 RDB (Relational Database)
✅ RDB 장점
- 정형화된 데이터 처리에 최적화되어 있음
- 데이터의 무결성 유지 및 일관성 보장 용이
- JOIN을 사용하여 여러 테이블에서 데이터 쉽게 가져올 수 있음
- 안정적이며 대규모 시스템에서도 확장 가능
- ACID 트랜잭션 지원으로 신뢰성 높음
- SQL이라는 표준화된 언어 사용
- 성숙한 기술로 다양한 도구와 전문가 풀 존재
❌ RDB 단점
- 대용량 데이터 처리에 한계
- 스키마 변경이 어렵고 확장성이 낮음
- 분산 처리 어려워 대규모 클러스터에서 취약
- 복잡한 쿼리 작성 필요
- 수직적 확장(Scale-up)에 의존
- 비정형 데이터 처리 어려움
🔥 NoSQL (Not Only SQL)
✅ NoSQL 장점
- 대용량 비정형화된 데이터 처리에 최적화
- 분산 데이터 처리 가능하여 대규모 시스템에서 용이
- 데이터 구조 유연성이 높아 스키마 변경 쉬움
- 병렬 처리로 빠른 데이터 처리 가능
- 수평적 확장(Scale-out) 용이
- 클라우드 환경에 적합
- 개발 속도 향상
❌ NoSQL 단점
- JOIN 작업 어려워 여러 테이블 데이터 제약
- 일관성 유지 및 데이터 무결성 보장 어려울 수 있음
- 데이터 저장 공간 비효율성 높을 수 있음
- RDB에 비해 데이터베이스 확장성 낮을 수 있음
- 표준화된 쿼리 언어 부재
- 상대적으로 미성숙한 기술
🔍 비교표
특성 | RDB | NoSQL |
---|---|---|
데이터 구조 | 정형화된 스키마 | 유연한 스키마 |
확장성 | 수직적 확장 (Scale-up) | 수평적 확장 (Scale-out) |
일관성 | 강한 일관성 (ACID) | 최종 일관성 (BASE) |
쿼리 | SQL | 다양한 쿼리 언어 |
조인 | 복잡한 JOIN 지원 | JOIN 제한적 |
성능 | 복잡한 쿼리 최적화 | 단순 쿼리 고성능 |
사용 사례 | 금융, ERP, CRM | 빅데이터, 실시간 웹, IoT |
📝 NoSQL 종류
1. Document Store
- MongoDB, CouchDB, RavenDB
- JSON 형태의 문서로 데이터 저장
- 유연한 스키마, 중첩된 데이터 구조 지원
2. Key-Value Store
- Redis, Memcached, DynamoDB
- 단순한 키-값 쌍으로 데이터 저장
- 매우 빠른 읽기/쓰기 성능
3. Column Family Store
- Cassandra, HBase
- 컬럼 패밀리 단위로 데이터 저장
- 대용량 데이터 처리에 적합
4. Graph Database
- Neo4j, ArangoDB
- 노드와 엣지로 데이터 관계 표현
- 복잡한 관계 분석에 최적화
🎯 선택 기준
RDB를 선택해야 할 때
- ✅ 데이터 일관성과 무결성이 중요한 경우
- ✅ 복잡한 관계와 JOIN이 필요한 경우
- ✅ ACID 트랜잭션이 필수인 경우
- ✅ 정형화된 데이터를 다루는 경우
- ✅ 금융, 회계 시스템
NoSQL을 선택해야 할 때
- ✅ 대용량 데이터를 처리해야 하는 경우
- ✅ 스키마가 자주 변경되는 경우
- ✅ 수평적 확장이 필요한 경우
- ✅ 비정형 데이터를 다루는 경우
- ✅ 실시간 빅데이터 분석
💡 하이브리드 접근법
최근에는 Polyglot Persistence 패턴을 통해 RDB와 NoSQL을 함께 사용하는 추세:
- 트랜잭션 데이터: RDB (MySQL, PostgreSQL)
- 세션 데이터: Key-Value Store (Redis)
- 로그 데이터: Document Store (MongoDB)
- 소셜 네트워크: Graph Database (Neo4j)
🏁 결론
데이터베이스 선택은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다.
- RDB는 안정적이며 일관성 유지에 용이하지만 대용량 데이터 처리에 한계가 있다
- NoSQL은 대용량 데이터 처리와 유연성 면에서 우수하지만 일관성 유지와 데이터 무결성 보장에 한계가 있을 수 있다
핵심은 데이터의 특성과 용도에 맞는 데이터베이스를 선택하는 것이다.
많은 현대적인 애플리케이션들은 각 데이터베이스의 장점을 활용하기 위해 여러 종류의 데이터베이스를 함께 사용하는 추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