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ncher Rancher 설치 개요 AWS에 테스트로 랜처 설치를 진행하려고 한다. 먼저 AWS에 EC2에서 인스턴스 3개를 생성한다. 하나는 마스터용 나머지는 워커용이다. 랜처 가이드에서 최소사양이라고 얘기하는 사양으로는 진행이 힘들다. 최소 4 vcpu, memory 16Gb, storage 30Gb 로 설정한다. OS이미지는 Suse 리눅스 엔터프라이즈 15 버전으로 한다. (참고로 레드헷 최신버전으로 진행했을때 안되는 것들이 좀 있었다. 하고자 하면
헬스 헬스 2년차 보고서 헬스 1년차 시작일 : 2022년 12월 12일 몸무게 : 93kg 키 : 176cm 인바디 점수 : 73 헬스 2년차 일시 : 2024년 1월 몸무게 : 89kg 키 : 그대로 인바디 점수 : 78 1년간 변화 위 리포트 상으론 크게 변화가 있는 것 같지는 않지만, 그 전인 22년 기준으로 해서는 변화가 크다고 볼 수 있다. 회고 연말이다 연초다 해서
넥서스 넥서스 설치 후 오류 문제해결 넥서스 설치후 문제 발생 회사에서 메이븐 레파지토리 사용을 위해서 넥서스를 설치했다. 설치 후 처음 접속한 페이지 Status 페이지에서 FileDescriptors 에서 오류가 발생했다. 넥서스를 설치한 환겨은 CentOS 7.x 같은 문제가 발생하면 아래 내용을 참고하여 해결하면 된다. 적절한 파일 핸들 제한 Sonatype Nexus Repository는 일반적으로 Linux 또는 MacOS 운영 체제에서 허용하는
비질란테 비질란테를 보고 답답하고 꽉 막힌 현실을 통쾌하게 뚫어주는 초특급 액션블록버스터. 얽히고 설킨 비리 정치인과 비리 공무원들, 조직폭력배, 범죄자들의 관계는 픽션임에도 마음을 무겁게 만들었고 적절하게 섞어 놓은, 현실에서 있었던 혹은 있을 만한 사건들을 적절하게 시나리오에 녹여서 마치 실제로 일어나고 있을 것 같이 느껴지게 했다. 액션 너무 좋았고 잔혹한 범죄 장면들은 두손에 땀을 쥐게
spring-boot SpringBoot 쓰레드 무한 생성 테스트 코드 스프링 부트에서 쓰레드를 무한 생성하는 테스트 코드를 작성해 보았다. 아래의 예시는 JUnit과 SpringBootTest를 이용해서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는 법이다. import org.junit.jupiter.api.Test; import org.springframework.boot.test.context.SpringBootTest; @SpringBootTest public class ThreadCreationTest { @Test public void testThreadCreation() throws InterruptedException { while (true) { Thread thread = new Thread(() -> { // 생성될
AI Ollama 설치 요즘 인기 있는 것. 설치 한 후에 원하는 모델로 실행시키면 커맨드라인으로 챗GPT처럼 질문등을 하면서 AI와 대화를 나눌 수 있다. 먼저 사이트를 방문한다. 다운로드 메뉴에서 다운로드 받는다. 운영체제에 맞는 파일을 받는다. 압축을 풀어서 프로그램을 응용프로그램 폴더로 복사한다. 그리고 실행한다. 실행되면 위와같은 아이콘이 작업표시줄에 생성된다. 그리고 창이 하나 출력된다. 읽어보면서 버튼을 클릭해서
망 사용료 법안 발의한 녀석들은 제정신인걸까요? 진짜 할말이 많지만.. 한마디만 한다. 민생이나 좀 챙겨라. — 추가 — 이번엔 또 망 무임승차 방지법? 또 이딴거 나왔던데… https://zdnet.co.kr/view/?no=20220908133137 민생이나 좀 챙기라고 제발 이상한 법 만들지말고!
계란말이빵이라는 것을 처음 먹어 봤다 회사 근처에 모멘트커피라는 곳이 있어서 옆을 지나가는데, 직장 동료가 계란말이빵이라는 것을 근처에서 판다고 하더라. 일단 계란말이빵이라는 단어를 처음 들어봤기에 약간 장난기 있는 직원이라 혹시 뻥치는거 아냐? 라고 생각이 들어서 재차 물어봤다. 그래서 가보자! 하고 그곳에 진입했다. 맛은 있었다. 가격은 현재 시점으로 3.5 D가 사준거라 더 맛있었다.
오류 네트워크 변경이 감지되었습니다. 오류 해결 결론부터 얘기 하면 OnyX 앱을 설치해서 해결했다. 별의 별 짓을 다했지만 위 앱 하나로 끝났다. 이 앱인데 아래 링크에서 다운로드 받았다. https://www.titanium-software.fr/en/onyx.html 시스템을 정리해주는 앱으로 실행하려면 당연히 관리자 권한이 필요하다. 전체 디스크 접근 권한까지 모두 주고 실행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을 볼 수 있다. 나의
ghost 고스트와 율리시스를 연동해서 사용하면서 Ghost(이하, 고스트)로 블로그를 2년 정도 운영중이다. 처음에는 글을 하루에 하나씩 쓰기로 마음먹었었지만 작심 몇일 안갔던 것 같다. 점점 글쓰기가 뜸해지고 요즘은 한달에 한게 올리는 것도 힘든 것 같이 되어버렸다. 문제점 아직도 정리하는 습관이 안드는 것 같다. 정리를 잘해보고자 옵시디언까지 설치해서 그 뭐냐 정리하는 방법 유명한거 있는데 그것도 따라해보고
테스트 테스트 가이드 테스트 프로세스에 대한 가이드 입니다. 개요 1. 정의 테스트 프로세스(Test process)는 소프트웨어 개발 생명주기(Software Development Life Cycle)의 일부로 소프트웨어의 품질을 확인하고 문제점을 식별하며 수정하는 일련의 단계. 2. 프로세스 a. 요구사항 분석 i. 소프트웨어의 목적과 기능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테스트 계획을 수립합니다. ii. 기능적 요구사항, 비기능적 요구사항
쉘스크립트 셀스크립트, 위치 매개변수 위치 매개 변수는 스크립트를 실행할 때, 넘겨주는 파라미터를 의미한다. 매개 변수는 아래와 같다. $0, $1, $*, $@, $# 각각이 어떻게 동작하는지 아래 예제를 참고 바란다. ➜ ~ vi lang.sh #!/bin/bash echo "lang 1 : $0" echo "lang 2,3 : $1, $2" echo "lang * : $*" echo "lang @ : $@" echo
쉘스크립트 쉘스크립트 작성시 예약 변수 및 환경 변수 쉘스크립트 작성할 때, 예약 변수 및 환경 변수를 알고 있어야 응용하거나 실수를 줄일 수 있다. 아래 환경변수와 예약변수 목록을 참고하기 바란다. 환경변수 및 예약변수 변수명 설명 Echo Result HOME 사용자 홈 폴더 /home/evilcurse PATH 실행 파일을 찾을 폴더 경로 /usr/local/bin:/usr/local/sbin:/… LANG 프로그램 기본 지원
QA 소프트웨어 QA 가이드 테스트는 누구나 할 수 있지만, QA는 준비된 자만이 할 수 있다. 정의 1. 품질보증을 의미 2. 주로 플랜트, 제약, 게임업계 등에서 주로 사용 3. 품질관리(QC)와는 다르며 QC는 시야가 작은 범위을 검증한다면 QA는 보다 넓은 범위를 검증한다. 즉 리스크를 예방한다는 것. 역할 서비스 기획 단계부터 참여하여 개발, 테스트 그리고
코파일럿 Amazon CodeWhisperer 회사 사정으로 깃랩의 코파일럿 구독이 중지 되었다. 그러다가 아마존에서 진행하는 행사를 온라인으로 시청하던 중에 CodeWhisperer라는 프로그램을 알게 되었다. 개인으로 사용하면 무료! 집에서 코딩할 때 사용하면 딱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사용법은 간단하다. Vs code 나 IntelliJ 에서 AWS Toolkiit을 검색하여 설치한후에 아래 목록이 뜨면 CodeWhisperer을 선택한다. 그후에 아마존에 로그인을 하면 된다. 완료되면
Python 파이썬에서 오라클에 접속하려면 return cx_Oracle.connect(config['USER'], config['PASSWORD'], config['DSN']) cx_Oracle.DatabaseError: DPI-1047: Cannot locate a 64-bit Oracle Client library: "libclntsh.so: cannot open shared object file: No such file or directory". See https://cx-oracle.readthedocs.io/en/latest/user_guide/
공모주청약 토스에서 한국투자증권까지 토스에서 두산로보틱스 공모주를 청약했는데, 한국투자증권으로 계좌도 만들어주고 편하게 공모주를 청약했다. 만족스러웠고 10월 5일 오전 9시에 당첨된 2주의 공모주를 팔려고 토스에 들어갔으나 매매가 되는 기능은 없었다. 당황은 잠시, 한국투자증권 앱을 새로 설치하고 내 계좌로 로그인을 하려고 했는데, 흔히 사용하는 4자리의 비밀번호가 모두 통하지 않았다. 5번을 실패하고 "하, 어떻하지?" 하다가
react-native 리액트 네이티브 개요 리액트 네이티브에 관심이 생겼다. 이미 리액트 네이티브로 프로젝트를 한적이 있어서(개발을 직접하진 않았지만...) 완전 생소하진 않았다. 구글링을 해보니 플러터와 용호상박을 이루고 있었는데 개인적으로는 리액트 네이티브가 우세한 형국으로 보였다. 요즘 리액트로 회사 프로젝트를 조금 만졌더니 리액트의 매력에 빠졌다. 그리고 뷰와 리액트를 하면서 타입스크립트도 재미나게 사용을 했다. 그런 와중에 플러터는 다트라는
개발공부 자바스크립트에서의 형변환 기본적으로 parseInt , Number(문자), 숫자+"", String(숫자) 등의 방법으로 형변환을 하고 있을 것이다. 문자를 숫자로 형변환 하는 방법으로 아래의 방법도 있다. const stringToNumber = +("123"); 이렇게 하면 stringToNumber는 숫자형으로 값 123을 가지게 된다. typeof stringToNumber > 'number' 우와~
Bun Bun 1.0 번. node.js 같은 자바스크립트 런타임으로 우연히 유튜브에서 보게되었다. Deno까지는 알고 있었는데 첨 보는 프로젝트라서 보게 되었는데 속도가 모든면에서 node.js나 deno에 비해서 빨랐고. 번과 같이 배포되는 패키지매니저나 서버프레임워크등의 속도도 기존의 yarn, pnpm 보다 빨랐고 express보다도 빠른속도를 자랑했다. 이러면 쓰지 않을 이유가 없을 것 같은데? 회사에서 사용할 수 있을지 확인해봐야